4월, 2018의 게시물 표시

2018년 4월 22일

오늘 낮에 엄마가 옷을 사준대서 집 근처에 있는 아울렛으로 갔다. 며칠 전에 엄마한테 홈플러스에서 산 천원짜리 초콜릿을 줬는데, 그때 엄마가 언제 시간나냐고 옷 사주겠다고 해서 나는 엄마가 면접용 정장을 사 주겠구나 생각했었다. 그런데 아울렛으로 가면서 엄마가 면접용 정장이 아니라 평소에 입을 옷 사 주려고 했었다면서, 나한테 일주일 뒤에 면접이야? 라고 물어봤다. 어쨌든 그래서 면접용 정장을 사러 가는 것으로 되었다. 20대 여성이 정장을 사러 가는 곳은 뻔하다. 로엠이나 수프 이런 곳이다. 집 근처에 있는 아울렛은 다 망해가는 곳이었는데, 그래서 20대 여성의류를 파는 곳이 로엠밖에 없었다. 그래서 거기로 갔다. 주차장에 차를 대고 가게에 들어가면서 엄마는 나한테 사람들이 너 남자인 줄 알겠다고 말했다. 이 소리는 대충 백만번쯤 들은 소리이다. 엄마는 모르는 사람에게 나를 소개할 때 "남자애 같죠?"라고 부러 먼저 할 필요 없는 소리를 하곤 했고, 옷가게 같은 데를 들어가기 전에 꼭 나한테 "사람들 너 남자애인줄 알겠다"라는 소리를 주지시켜 주곤 했다. 나는 그럴 때마다 짜증이 났고, 오늘도 짜증이 나서 "엄마만 그렇게 생각해"라고 대답했고 엄마는 전혀 동의를 못하는 표정을 지었다. 어쨌든 가게에 들어가서 정장을 골랐다. 나는 요새 여성복 시장에 부는 오버핏 유행이 참 다행이고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나는 정말 허리가 달라붙고 어깨가 껴서 팔을 반 이상 못 올리는 불편한 옷을 못 참기 때문이다. 그 가게에서 입은 자켓도 오버핏으로 나와서 불편하지 않았다. 바지도 마음에 들었다. 옷을 고르면서 가게 점원은 어디 면접을 보냐고 했고, 엄마는 회사 면접은 아니라고 대답했다. 그러니까 점원 분이 대학원? 이라고 물었다. 점원 분은 50대 여성이셨는데, 자기 아들도 박사과정을 밟고 있고 논문을 쓰느라 고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보다는 애들이 고생이죠 하면서 나한테 힘 내시라고 했다...

2018년 4월 17일

건강하지 못한 나 자신에게 실망하고, 세상에게 화가 나고 그랬다. 실망과 분노를 자각하니까 오히려 우울이 사라졌다. 실망과 분노를 인정하는 것도 나 자신을 긍정하는 일의 일환이라 그런 것일수도 있다. 입시에 떨어지면 더 이상 대학원에 가려고 애쓰지 않겠다 마음 먹었다. 자아실현에의 욕심이 있다 하더라도 내가 즐겁게 사는 게 우선인 것 같고, 학자가 되는 일이 즐거움을 희생하면서까지 꼭 이뤄야 할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몇 달 전에는 학자가 아닌 나 자신을 상상하기 싫었는데, 아마 학자 아닌 나 자신이 실패한 나 자신으로 생각 되어서 그런 게 아닐까? 지금은 학자 아닌 나 자신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오로지 한 길에만 집착하는 것은 마치 한 동앗줄에만 나 자신을 온전히 맡기는 일과 다름 없고, 그 동앗줄이 끊어지면 완전 망해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동앗줄로 내 몸을 묶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고, 하기 싫어서 아무 것도 안 하고 누워 있는 일로 나 자신에게 실망하지 않기로 했다. 사는 건 어찌 보면 단순해서, 그냥 밥 한술만 넘기는 것도 사는 거라고 할 수 있다. 밥 한술만 넘기고 숨만 쉬며 사는 것도 어쨌든 사는 것이다.

2018년 4월 15일

(쓰다 말았는데 더 이상 쓰기 귀찮아서 미완성 상태로 게시함) 토요일 저녁에 준호를 만나서 이야기를 했다. 이야깃거리 중 하나는 학자로서의 마인드셋이었다. 작금의 신자유주의 영향 아래에 있는 제3세계 한국에서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 연구자가 된다는 것은 돈도 못 버는 불안정한 직업을 택하는 일이기 때문에, 이런 '비합리적' 선택을 하는 이유로서 보통 학자가 되려는 이들은 두 가지 마인드셋을 장착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나는 자신을 투사로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바가 숭고한 사명을 행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혹은 아주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으로. 다른 하나는 자기가 하는 일을 덕질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말고 제 3의 마인드셋은 준호와 함께 골똘히 생각해봐도 나오지 않았다. 어쨌든 저 두 마인드셋을 떠올리고 나는 준호한테 말했다.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숭고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나 자신을 투사로서 규정하고 싶지도 않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하는 일이 즐겁지는 않다. 나는 정말 그렇다. 나는 철학 연구자가 되기 위해 머리 빠지도록 책을 읽고 원전을 읽기 위해 영어, 독일어를 눈물 나게 공부해야 하는 이 모든 것들이 전혀 '덕질'로 느껴지지 않는다. 덕질은 쉽잖아. 그리고 즐겁다. 하지만 학문을 하는 건 어렵고 힘들다. 이런 이야기를 하다 문득 떠오른 것은 덕질을 위해 제2외국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러다 퍼뜩 깨달았다. 나는 덕질을 위해 공부를 하는 사람이 전혀 아니었던 것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아무리 봐도 나는 일본어 실력이 썩 향상하는 그런 사람이 전혀 아니었다. 내가 덕질을 위해 외국어를 공부하는 사람이었다면 나는 철학 공부하는 것을 덕질로 규정했을까? 그랬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나는 왜 학자가 되려고 하는가? 나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있고, 하고 싶은 말을 철학으로서 설득력 있게 하고 싶고, 그것을 학계라는 제도권 안에서 인정 받을 만한 형태로 하고 싶기 때문에 학위를...